요약 |
미세구조는 결정의 연속성에 따른 분류로써 결정질과 비정질으로 나눌때 결정질은 단결정(single crystalline)과 다결정(ploy crystalline)으로 구분이 됩니다. |
정의상 가정 |
|
내용상 가정 |
|
공식 |
|
단위 |
|
응용 |
|
↑파란 박스의 글자를 클릭하시면 가정과 응용으로 넘어 가실 수 있습니다!!
미세구조는 결정의 연속성에 따른 분류로써 결정질과 비정질으로 나눌때
결정질은 단결정(single crystalline)과 다결정(ploy crystalline)으로 구분이 됩니다.
비정질은 그냥 비정질(amorphous)로 봅니다.
단결정(single crystalline)은 한가지의 grain만 가지고 있스며 crystal로 0D와 1D의 defects가 있습니다. 결정 전체가 일정한 결정축을 따라 규칙적으로 생성된 고체 인데 이때 결정격자 간 경계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결정(polycrystalline)은 여러개의 grain과 grain boundary가 있습니다. 이는 crystal과 2D defect가 있습니다. 결정격자의 연속성이 결정 내부에서 종료되는 것으로 작은 단결정의 집합으로 간주합니다.
특정한 크기의 연속성이 존재하는 것을 결정립(grain)이라 하며 결정립은 하나의 결정핵으로 부터 성장하는 결정격자의 집합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결정핵으로부터 성장하는 결정격자는 성장 방향이 다릅니다.
결정립계(grain boundary)는 결정립의 방위가 변화되는 경계입니다. 즉 다결정은 이를 가지고 있으나 단결정은 grain boundary가 없습니다.
결정립의 크기와 형상은 항상 고려해야 합니다.
비정질의 경우 결정격자의 장 범위 규칙성이 없습니다. 결정격자의 연속성도 없고 결정립과 결정립계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결함을 정의하기가 어렵습니다.
인간이 쉽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재료의 성질을 이 미세구조를 변화시켜 변경합니다.
이때 조작을 위해 Gibbs에너지를 높여 안정하지 않은 상황을 만들어야 합니다.
즉 같은 상황을요
'반도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phase) (0) | 2017.03.25 |
---|---|
합성(composite rate) (0) | 2017.03.22 |
결정(crystal) (0) | 2017.03.13 |
격자(lattice) (0) | 2017.03.13 |
페르미 분포(Fermi-Dirac Distribution) (0) | 2017.03.02 |